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생아 정상체온 범위와 열나는 원인과 대처방법

by 쓰담제이 2023. 3. 23.

1. 신생아의 정상체온 범위 

신생아의 정상체온은 36.5도에서 37.5도 사이입니다. 보통 성인의 체온보다 높습니다. 부모가 되고 나서 자신과 다른 체온을 가지고 있는 신생아를 양육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정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첫 3일간은 체온이 낮게 나타나다가 3일 이후부터는 정상적인 체온 범위에 돌입하게 됩니다. 그러나 개별적인 신생아의 상태에 따라 체온이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의사나 간호사 등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체온을 측정하고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체온이 높은 편인 아기 : 37 초반 


2. 신생아가 미열의 기준과 원인

- 미열 기준

신생아 미열의 기준은 체온이 37.5도 초과인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체온이 36.5도에서 37.5도 사이를 유지해야 하지만, 감염 등으로 체온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 미열 원인

 신생아 미열은 일반적으로 감염, 염증, 알러지 반응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성인에 비해 외부 환경에 적응하기가 어려운 신생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감염이나 염증 등이 원인일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다른 연령대의 사람들보다 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감염이 발생하면 미열이나 다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가 출생 후 며칠 동안 체온이 낮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생후 24시간 이내에 신생아 체온이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신생아 감기'라고도 불립니다. 이 경우 신생아의 체온이 일시적으로 36.5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체온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의료진에게 상담해야 합니다.


3. 신생아가 고열의 기준과 원인

- 고열 기준
신생아의 고열 기준은 일반적으로 체온이 38℃ 이상인 경우입니다. 그러나 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체온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 고열 원인 
고열은 감염이나 염증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생아의 경우 감염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 요로감염, 중이염, 폐렴, 수막염 등이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가 감기 증상을 나타낼 때도 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신생아 열이 나는 것을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나요?   


신생아가 대체적으로 보이는 열이 나는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체온 증가: 체온이 일반적으로 37℃ 정도인 신생아가 38℃ 이상의 체온을 보입니다.
느슨하고 쳐지는 상태: 신생아가 열이 나면 무력하고 느슨한 상태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활기찬 상태에서 갑자기 느슨한 상태로 변화됩니다.
2. 흥분, 울음 : 평소에 비해 울음이 많아지고 칭얼거리거나 흥분한 모습을 보입니다.
3. 먹는 양 감소(식욕 감퇴): 신생아가 열이 나면 식욕이 감퇴하고 먹는 양이 줄어듭니다.
4. 기타 증상: 열이 있는 신생아는 머리가 뜨거워질 수 있고, 피부가 빨개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구토나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확인 되면 아래의 대처방법을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5. 신생아 열이 났을 때 대처 방법 

 아래와 같은 대처 방법을 통해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1. 체온 측정: 정확한 체온을 측정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체온을 측정하여 고열인지 확인합니다. 체온 측정 시 디지털 체온계나 귀 온도계를 사용합니다.
2. 병원 내원: 신생아의 체온이 38℃ 이상(고열)일 경우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의료진의 진료를 받습니다. 언제부터 열이 났는지, 아이 상태는 어떠한지를 기록하고 의료진에게 전달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적절한 환경 유지: 열이 있는 신생아는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수분 섭취 유지: 열이 나는 신생아의 경우 땀이 나면서 수분부족을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열이 있는 신생아는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모유 또는 분유를 규칙적으로 먹일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신생아의 경우 물이 아닌 모유 또는 분유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5.적절한 옷차림: 신생아의 기초체온은 성인보다 높기에 어른의 기준으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신생아의 옷차림은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열이 있는 신생아는 얇은 옷을 입히고, 너무 많은 이불이나 담요로 덮지 않도록 합니다.
6.안정적인 상태 유지: 열이 있는 신생아는 편안하게 누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를 바꿔가며 누워줍니다.


신생아의 경우 성인과 정상체온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신생아의 경우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환경에 체온의 변화가 많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며 아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도록 바랍니다. 


댓글